물고기 도감

생이새우?

manswaterlife 2025. 4. 25. 09:49
728x90

많은 사람들이 어항청소, 물잡이로 많이 쓰시는 생이새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생이새우 사진

 

생이새우는 어항 청소나 그런 곳에 정말 많이 쓰이고 있죠. 그리고 야마토 새우와 비교했을 때 그 가격 면에서 생이새우 

물량전이 이긴다라는 말은 이미 유명합니다.

이런 생이새우를 관찰한 저의 의견 요약 해드리겠습니다.

 

1. 가격이 너무 싸다.

-생물을 가격으로 말하면 안되겠지만 물생활에 부담이 전혀 가지 않는 가격이기에 수초를 키우시는 분도, 정말 작은 

마리모등을 키우시는 분도 충분히 키우실 수 있습니다.

 

2. 생각보다 너무 쉬운 포란.

-생이새우 번식하려면 뭐뭐 다 맞춰야 한다고 하지만 그냥 물량 넣으면 거의 다 포란하고 암수 1쌍만 있어도 포란은 쉽습니다.

 

3. 이끼제거능력은 꽤 좋다.

수초나 구조물, 바닥재에 붙어있는 이끼류 다 먹어치워서 좋습니다.

 

4. 다른 물고기와 합사하기가 매우 쉽습니다.

 

5. * 잘 오래키우면 무지막지하게 커집니다.

제가 데리고 있는 생이 새우 중 암컷에 포란을 한 개체가 있는데 이 개체는 정말 큽니다.(생각했던거 보다)

제가 생각하는 생이새우는 하얀색에 작았는데, 이 친구는 등에 검은 호랑이 줄무늬가 생기기 시작하더니

같이 있는 제브라다니오와 크기가 비슷합니다...

 

그럼에도 새우이기 때문에 수질 맞댐을 오래 해주는게 좋다는 사실까지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도감내용

생이새우

학명: Paratya compressa (De Haan, 1844)

 

우리가 흔히 생이새우라고 불리는 것은 새뱅이에 대한 설명입니다. 원래 새뱅이라 부르는 것이 맞지만 어째선지 국내에서는 새뱅이 새우가 전부 생이새우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다른 새우에 비해 비교적 온순한 성격이고 적응력이 좋습니다. 또한 이끼 제거도 하고 물고기들이 남긴 사료도 먹기 때문에 어항에 튑하기 좋습니다. 어항에서 번성할 수 있지만 다른 물고기가 알을 다 먹어버리기도 합니다.

 

새뱅이는 십각목 새뱅이과의 무척추동물로, 연못이나 저수지, 냇물 등의 다양한 수역에 삽니다. 몸길이는 25mm내외로 작은 새우류에 속합니다. 갑각에는 눈윗가시와 더듬이윗가시가 있습니다. 이마뿔은 거의 수평을 이룹니다. 윗가장자리에 12-19개의 이가 나 있는데, 보통 20개의 내외의 이를 갖는 개체가 대부분입니다. 가슴다리에 바깥다리가 없으며, 눈윗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우리나라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및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 일본에 존재합니다.

 

새뱅이는 식용으로도 많이 먹습니다.

 

합사가능한 생물로는 마리모, 메다카, 램프아이, 플래티, 제브라다니오, 테트라 종류, 구피, 코리도라스등이 있습니다.

 

합사 불가능한 생물로는 중대형어이며 생이 새우를 먹이로 할 수 있는 물로기는 안됩니다. 또한 수마트라바브 로지바브 테트라 종류에서도 블랙테트라와 콩고테트라는 갑각류 사냥을 하기에 안됨엔젤피쉬, 베타도 안되며 모노닥틸루스, 쿨리로치, 크라운 로치도 안된다. 코리도라스는 가능하지만 바닥을 헤집어서 새우가 폐사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한다. 복어와 합사는 그냥 먹이주는 꼴이다. 거북이도 마찬가지.

 

이끼가 없어서 얘네가 못 먹어서 죽을 것 같다고 하지만 미세 플랑크톤등도 먹을 수 있고 그냥 아무 사료나 던져줘도 분해자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728x90